일본어한자 27

[상용한자] 尉 / 異 / 移 / 萎 / 偉

尉 벼슬 위 / 위로할 위 음독 : イ 예1 : 尉官 [いかん] 군인 계급으로, 대위·중위 ·소위의 총칭. 또 자위대의 일위·이위 ·삼위의 총칭. 예2 : 一尉 [いちい] 자위관의 계급으로, 일등육(해, 공)위를 말한다. 구 군대의 대위에 해당한다. 예3. 大尉 [たいい] 대위 異 다를 이 음독 : イ 예1. 異論 [いろん] 이론 ; 이의 「異論を唱(とな)える : 이론을 제기하다」 예2 : 異同 [いどう] 이동 ; 다름 「本文の異同を調べる: 본문의 다름을 조사하다」 예3. 奇異 [きい] 기이 훈독 : こと 예1 : 異にする 달리하다 「考えを異にする : 생각을 달리하다」 예2 : 異なる 다르다 「兄弟でも性格は異なる : 형제라도 성격이 다르다」 移 옮길 이 음독 : イ 예1 : 移転 [いてん] 이전 「事務所..

[상용한자] 委 / 威 / 為 / 畏 / 胃

委 맡길 위 음훈 : イ 예1 : 委任 [いにん] 위임 예2 : 委員 [いいん] 위원 예3 : 委細 [いさい] 자세한 사정 (내용) 「委細は面談の上で : 자세한 내용은 면담할 때 이야기합시다」 (자세한 일까지) 모두 「委細承知した : 모두 잘 알았다」 음훈 : ゆだねる 예 : 委ねる 맡기다, 위임하다 「全権を委ねる : 전권을 맡기다」 바치다 「教育に身を委ねる : 교육에 몸을 바치다」 威 위엄 위 음훈 : イ 예1 : 威力 [いりょく] 위력 예2 : 威圧 [いあつ] 위압 예3 : 示威 [じい] 시위 為 (爲) 할 위 음훈 : イ 예1 : 為政者 [いせいしゃ] 위정자 예2 : 行為 [ 行為] 행위 예3 : 作為 [[さくい] 작위 비고 : 為替 [かわせ] 환 畏 두려워할 외 음훈 : イ 예1 : 畏敬 [いけい..

[상용한자] 衣 / 位 / 囲 / 医 / 依

衣 옷 의 음훈 : イ 예1 : 衣服 [いふく] 의복, 옷 예2 : 衣食住 [いしょくじゅう] 의식주 예3 : 作業衣 [さぎょうい] 작업복 비고 : 浴衣 [ゆかた] 음훈 : ころも 예1 : 衣 의복 법복 「墨染めの― ; 먹빛의 승복」 튀김이나 과자 등의 겉면을 감싸거나 묻히는 것 「てんぷらの衣 ; 튀김 옷」 예2 : 羽衣 [はごろも] 선녀의 날개옷 새나 벌레의 날개 位 자리 위 음훈 : イ 예1 : 位置 [いち] 사물이 있을 곳, 있어야 할 곳 「所定の―につく ; 소정의 자리에 앉다」 일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장소 「この問題は重要な―を占める ; 이 문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」 사람이 놓여있는 상태, 처지, 입장 「次期会長と目される―にある ; 차기 회장으로 지목되는 위치에 있다」 예2 : 第一位 [だいいち..

[상용한자] 嵐 / 安 / 案 / 暗 / 以

嵐 남기 람(남) 음훈 : あらし 예1 : 嵐 광풍, 폭풍우 예2 : 砂嵐 [すなあらし] 모래폭풍 安 편안 안 음훈 : アン 예1 : 安全 [あんぜん] 안전 「―な隠れ家 ; 안전한 은신처」 예2 : 安価 [あんか] 싼 값 「―な商品 ; 싼 물건」 가치가 낮은 것, 값싸다 「―な同情 ; 값싼 동정」 예3 : 不安 [ふあん] 불안 「夜道は―だ ; 밤길은 불안하다」 음훈 : やすい 예1 : 安い 값이 싸다 「給料が―・い ; 급료가 낮다」 경솔하다 「―・く見られる ; 경솔해 보인다」 예2 : 安らかだ 온화하고 변함없는 모습, 평안한 모양 「―な旅路を祈る ; 여행길이 편안하기를 빌다」 아무런 걱정도 고민도 없는 모양 「―な眠りにつく ; 평온히 잠이 들다」 案 책상 안 음훈 : アン 예1 : 案文 [あんぶん] 초고..

[상용한자] 悪 / 握 / 圧 / 扱 / 宛

悪 (惡) 악할 악, 미워할 오 음훈 : アク 예1 : 悪事 [あくじ] 악행, 못된 짓 「―を働く ; 못된 짓을 하다」 「―が露見する ; 못된 짓이 드러나다」 재난, 재앙 「―が重なる ; 불행이 겹치다」 예2 : 悪意 [あくい] 악의 「―を抱く ; 악의를 품다」 「―に満ちた眼差(まなざ)し ; 악의에 찬 눈빛」 예3 : 醜悪 [しゅうあく] 추악 「―な争い ; 추악한 싸움」 음훈 : オ 예1 : 悪寒 [おかん] 오한 「背筋に―が走る ; 등골에 오한이 일다」 예2 : 好悪 [こうお] 호오, 좋아함과 싫어함 「―が激しい ; 좋고 싫음이 심하다」「―の念 ; 좋고 싫은 마음」 예3 : 憎悪 [ぞうお] 증오 「戦争を―する ; 전쟁을 증오하다」 음훈 : わるい 예1 : 悪い 예2 : 悪さ 나쁨 「歯切れの― ; 모호함」..

[상용한자] 亜 / 哀 / 挨 / 愛 / 曖

亜 (亞) 버금 아 음훈 : ア (아) 예1 : 亜流 [ありゅう] 아류 예2 : 亜麻 [あま] 아마 (식물) 예3 : 亜熱帯 [あねったい] 아열대 哀 슬플 애 음훈 : アイ 예1 : 哀愁 [あいしゅう] 애수 예2 : 哀願 [あいがん] 애원 예3 : 悲哀 [ひあい] 비애 음훈 : あわれ 예1 : 哀れ 불쌍함, 가련함 / [문학] 정취·비애를 느끼게 하는 모양 / [감동사] 아, 진실로 예2 : 哀れな話 예3 : 哀れがる 불쌍히(가엾게) 여기다 음훈 : あわれむ 예1 : 哀れむ 불쌍히 여기다 / 사랑하다, 귀여워하다 예2 : 哀れみ 불쌍히 여김, 동정 挨 밀칠 애 음훈 : アイ 예 : 挨拶 [あいさつ] 인사 愛 사랑 애 음훈 : アイ 예1 : 愛情 [あいじょう] 애정, 사랑 예2 : 愛読 [あいどく] 애독 ..

項垂れる [うなだれる] : 고개를 숙이다

▶ 의미 ◀ 失望や悲しさ・恥ずかしさなどのために、力なく首を前に垂れる。 실망, 슬픔, 부끄러움 등으로 인해, 힘없이 고개를 앞으로 늘어뜨리다. うつむく。 고개를 숙이다 / 아래쪽으로 기울다 ▶ 예 ◀ 「悲しみに―・れる」 : 슬픔에 고개를 숙이다 「―・れて説教を聞く」 : 고개를 숙이고 설교를 듣다 ▶ 유래, 어원 ◀ うなだれる는 무라마치(村町) 시대 말기까지 청음(清音 ; 탁음이 붙지 않음)으로 「うなたれる」라고 하였다. 「うな」는 한자로 「項(항목 항)」이라고 쓰 듯 「うなじ(목덜미)」를 나타낸다. 「うなじ」에 「たる(垂る)」가 붙어 「うなたる」가 되었고, 이게 「うなたれる」로 변화하면서 「うなだれる」가 되었다. 「うなじ」의 「うな」가 어원인 말로는 「うなずく」나 「うながす(諸説 있음)(재촉하다, 촉구하다)..